본문 바로가기
정보 노트

화제작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볼만할까?

by 아몬드농장 2023. 2. 20.
반응형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넷플릭스에서 2월 17일 공개된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가 넷플릭스 전 세계 영화 부문에서 스트리밍 2위를 차지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하였다. 참고로 영화 부문 스트리밍 1위는 '유어 플레이스 오어 마인'입니다.

 

✔ 현실적인 소재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현실적인 소재를 다루고 있습니다. 회사원 나미(천우희)가 집에 가는 길에 버스에서 스마트폰을 잃어버리고 그 스마트폰을 주운 준영(임시완)은 나미의 폰에 스파이웨어를 설치한 뒤 돌려주게 됩니다.

스마트폰을 해킹하여 나미의 취미, 직업, 인간관계 등 모든 것을 알아낸 뒤 준영은 정체를 숨기고 나미에게 접근하는 스릴러물입니다. 

 

✔ 시의적절한 소재

스마트폰이 없으면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 힘들 만큼 폰은 이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가 된 지 오래이고, 평범한 MZ세대 나미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쇼핑이나 중고 거래, 배달 주문, SNS, 게임 등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 하루종일 스마트폰에 의지하는 모습을 보여 줍니다.

스마트폰 정보 유출과 해킹처럼 각종 사회면 기사로 친숙한 소재의 활용은 스릴러물에 있어서 적절한 선택으로 보입니다.

 

✔ 원작과 다른 각색

이번 넷플릭스를 통해 공개된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는 동명의 일본 원작 소설을 각색하여 제작되었습니다.

2018년 제작되어 우리나라에서도 개봉되었던 일본판 영화에서는 주인공의 남자 친구의 스마트폰이 분실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보여줬습니다.

 

영화 막바지에 범인의 실체를 드러내는 원작은 반전에 중점을 둔 전개를 보여주는데 반해 한국판은 영화 초반부 연쇄살인마의 정체를 보여주고, 준영이 어떻게 나미의 일상에 접근하면서 파괴하는 모습을 그려냅니다. 

 

초반에 범인의 정체를 드러낸 나머지 극의 중반 이후 벌어지는 사건들은 예측 가능한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며, 나미의 SNS 계정을 마음대로 조작하는 준영이 벌이는 행각은 너무 뻔한 모습을 보여줘 극의 위기감이 고조되어야 할 영화 후반부 힘을 잃고 맙니다. 그리고 영화가 진행되며 발생되는 상황 중 개연성이 부족한 것도 보여줘서 아쉬운 결말을 보여 줍니다.

 

✔ 넷플릭스 타이틀을 믿기에는

최근 넷플릭스에 공개된 작품에 대한 평가나 반응은 심상치 않습니다. '더 글로리', '피지컬:100'등의 성공적인 인기를 얻은 작품과 SF영화 '정이', '솔로지옥 2', '종이의 집' 등 혹평과 무관심등 평가가 교차되고 있습니다.

 

이번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역시 공개와 동시에 만족감과 불만이 동시에 보입니다. 

검증된 연기력을 보여주는 천우희, 임시완, 김희원 등의 연기력은 역시나 영화의 진행에서 보이는 약점을 상당히 보완해 주지만 익숙한 소재에서 주는 클리셰는 흥미를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애초 넷플릭스로 기획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원래는 극장 개봉 예정) 조금 더 디테일함을 보여줬으면 어땠을까라는 작품에 대한 아쉬움이 남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