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원산지는 대한 민국 경산 등 한국 동남 지방에서 서식 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고려, 조선 시기에 전국적으로 퍼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1992년 천연기념물 제368호로 공인 되었다.
삽살개는 여러 고전 문학 작품 속에서 '청삽사리'라는 이름으로 등장 하였는데, 대표적인 작품이 '숙향전'으로, 숙향이 마고할매의 주막에서 살게 되었을 때 그 주막에서 기르던 개가 청삽사리(삽살개)이다.
삽사리, 삽살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털이 긴 개라는 의미로 더풀개, 더펄개라고도 한다. 잡귀를 쫒는 퇴마견으로도 알려져 있는데, 구전되는 설화에 따르면 청삽사리를 가리켜 '사자방'이라 불렀고 이는 사자새끼를 뜻 한다.
수렵, 목축이 발달한 서양과는 달리, 농경문화권인 한국에서는 견종을 인위적으로 육성하고 관리하는 전통이 근대까지도 존재하지 않았다. 진돗개나 풍산개도 품종을 따로 관리한게 아니라 외부와 차단된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견종을 조선총독부가 해당지역 개들의 우수성을 확인하고 보존하기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하면서 하나의 품종으로 굳어졌다.
외모
키 49~55cm, 무게 17~21kg 정도 되는 중형견이다.
삽살개의 털색은 크게 청색(검은 삽살개를 청삽사리라고 한다.)과 황색으로 나뉘며, 근래에는 백삽사리나 바둑이 삽사리도 태어나고 있다.
긴 털을 가지고 있으며, 시츄, 요크셔 테리어처럼 얼굴 부분의 털이 길게 자라나서 얼굴 주변을 거의 덮고 있다. 얼굴을 비롯해 전신을 둥글게 덮은 긴 털과 처진 귀 때문에 겉보기에는 넉살좋아 보이는 모습이지만, 옛날 그림등에서는 털은 복슬복슬하나 주둥이와 다리에는 털이 없어 날카로운 인상을 줬었다.
눈을 덮고 있는 긴 눈썹을 젖히면 날카로운 눈동자이 깜짝 놀랄 정도로 삽살개의 인상은 날카로운 편 이다.
특징
전반적으로 주인에게는 절대적으로 순종하며 온순하고 애교를 피우는 견종이다. 그러나 다른 개들이나 동물들과 섞어둬도 잘 어울리는 성격은 아니어서, 다른 개들과 합사하면 서열정리의 일환으로 영역다툼이 일어날 수 있다. 혼자 기르거나 아니면 어릴 적부터 같이 자라온 개들과 함께 기르는게 안전하다.
진돗개와 마찬가지로 품성 자체가 충직해 한 번 사귄 주인과 떨어지면 잊지 못하는 것이 빈번하고 산책, 운동시에는 늘 주인 곁에 붙어 있으려는 습성이 있다.
머리가 좋은 편이라서 훈련만 제대로 된다면 번견, 구조견 등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특히 인내심이 대단한데 웬만큼 힘든 일이나 고통에 대해서 좀처럼 표현하지 않고 극복하려고 한다. 다르게 말하면 주인이 개의 몸 상태를 알기 어렵기 때문에, 삽살개를 키우는 주인은 다른 개보다 훨씬 섬세한 주의를 기울여 살펴보는 것이 좋다.
1999년 어느 사육정에서 다양한 견종을 사육하고 있었는데 셰퍼드 및 다른 견종들이 먹이를 거부하며 다리를 절고 있었다. 그 이유는 무더운 날씨와 열악한 환경 이었는데, 유일하게 삽살개만이 수백마리 진드기들이 기생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밥을 잘 먹어 건강했다는 일화가 있다.
여느 견종과 마찬가지로 훈련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맹견이 되는데 초기에 서열화를 시켜두지 않으면 당연히 개는 자기가 서열상 위라고 생각해서 날뛰기 마련이다. 서열화를 철저히 교육해야 충직하고 온순한 삽살개를 기대할 수 있다.
주인이 털 관리를 어떻게 하냐에 따라 외형이 극도로 달라진다. 털이 길다보니 부지런한 목욕과 빗질을 요구한다. 관리가 부족하게 되면 털이 뭉쳐서 이물질과 함께 딱딱하게 덩어리져 굳으면 빗질은 커녕 가위로도 잘 잘리지 않는다. 특히 눈 주위의 털은 눈을 다치게 하고 개가 예민해지므로 더욱 신경 써줘야 한다.
삽살개가 외국의 견종을 교배시켜 만들었다는 주장이 있는데 과학적 근거 없이 외형만 보고 판단한 억지주장이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은 삽살개의 유전적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해 비슷한 외모를 가진 외국 견종 7품종(아프간하운드, 티베탄 테리어, 라사압소, 그레이트 피레니즈, 올드 잉글리쉬 쉽독, 소프트 코티드 휘튼 테리어, 마스티프)을 대상으로 유전체의 단일염기 다형성(SNP,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을 비교 분석했다. 연구 결과, 삽살개는 외국 견종 7품종보다 월등히 높은 유전자 다양성을 보였다. 이는 외국 품종과는 차별화된 유전적 특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애완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특한 매력의 베들링턴 테리어 (0) | 2022.12.05 |
---|---|
엄살쟁이 귀요미, 시바 이누(시바견) (0) | 2022.12.04 |
천사견 인절미, 골든 리트리버 (0) | 2022.12.02 |
서양의 악마견, 잭 러셀 테리어 (0) | 2022.12.01 |
지구 최강 전투력 로트와일러 (0) | 2022.1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