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완동물

천사견 인절미, 골든 리트리버

by 아몬드농장 2022. 12. 2.
반응형


역사

원산지는 영국의 스코틀랜드이다. 사냥을 즐기던 19세기 스코틀랜드 귀족인 트위드마우스 경(Lord Tweedmouth)은 사냥견으로 적합한 종을 만들기 위해 세터 종과 스패니얼 종을 교배해서 골든 리트리버를 탄생 시켰다.

마당이 있는 주택이 일반적인 미국과 영국, 아일랜드,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에서 많이 키우는 견종이다.

외모

키 51~61cm, 무게 25~40kg이다. 이름처럼 윤기가 흐르는 크림빛 또는 금빛의 풍성한 털이 가장 큰 특징이며, 귀티가 흐르는 인성이다.
한국에서는 누렁이, 인절미와 골댕이라고도 불린다.
영미권에서는 너겟이라고 부른다. 성격이 온순해서 '천사견'이라는 별명
도 있다.



특징

리트리버는 원래 사냥개 중에서 총에 맞은 새를 물어오는 것(Retriever)을 목적으로 교배된 견종이다.
주인이 총을 쏘기 전에 짖거나, 소리를 내면 새가 도망 갈테니 주인이 물어오라는 지시를 할 때까지 얌전히 명령에 복종하는 게 몸에 밴 견종이다. 하지만 엄연히 대형견이고 사냥개임을 인지하고 있어야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공격성이 지극히 낮고 인내심이 강하기 때문에 먼저 공격을 당해도 자리를 피하고 대부분 반격하지 않는다. 안내견으로서 리트리버 견종이 1순위로 선택되는 것은 인내심, 사회성 등이 명백하게 검증되었다는 뜻이다.

지능이 높은 견종으로 탑 5위 안에 들어갈 만큼 머리가 좋다.

시각장애인 안내견으로 널리 쓰인다. 다른 견종 중에서도 훈련을 통해 시각장애인 안내견으로 활동할 수 있지만 뛰어난 사회성, 안내견으로서의 체계적인 공급, 호불호 없는 외모, 훈련의 용이성 등을 평가하면 리트리버 종의 효율성과 탁월함이 매우 뛰어나다.
털이 좀 많이 빠지는 것 외에는 안내견으로서 단점이 거의 없다.

그렇다고 결코 겁쟁이는 아니며, 자신과 가까운 사람이 공격을 받으면 확실히 나서는데 끝도 없는 순둥이 같지만 주인이 위협에 빠지면 강제로 끌고 나오거나 사냥개 뺨칠 정도로 공격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골든 리트리버를 마냥 천사견으로 순한지 알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사람에게 해당되는 것 이며 다른 개나 동물에게 무조건 통용 되는 것은 아니다. 대상이 사람이 아닌 경우 다른 견종과 마찬가지로 영역분쟁이나 서열다툼도 확실히 하며 암컷의 경우 싸움도 피하지 않는다.

장점으로 사회성이 매우 좋아서 낯가림이 없다. 자신을 귀찮게 구는 어린아이도 좋아하고, 아무리 귀찮게 굴어도 대부분 너그럽게 넘기는 편이다. 외국에서는 자페 아동의 사회성 육성을 위해 기르기도 하고, 안내견으로서 인기도 많다. 남다른 사회성을 이용해 다른 동물들의 친화력을 높이는 파트너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동물원에서 무리에 끼지 못한 표범과 함께 뛰어놀며 친화력을 회복시켜 준 사례가 보고 되기도 했고, 새끼 고양이를 분양받아 같이 기르는 경우 골든 리트리버가 자기 자식처럼 돌봐주기도 하는 사례가 많다.

발에 물갈퀴가 있어서 수영을 잘 하고 대체적으로 물을 좋아하는 편이라 애견인들 사이에서 '물트리버'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한다.
이처럼 천사견으로 칭송이 자자한 골든 리트리버이지만, 개로써 갖는 특성인 서열의식, 경쟁심, 공격성은 없을 수가 없기 때문에 가끔 사고도 일어난다.

초보 견주에게는 추천하기 어려운 품종인데, 앞서 말한 골든 리트리버의 장점들은 어디까지나 주인이 사육에 대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으며, 체계적인 훈련을 할 수 있는 사람일 때 해당된다. 또한 대형견인 만큼 먹고 싸는 문제도 무시할 수 없고 털빠짐이 심한 것도 유의해야 한다. 먹는 사료의 양은 보통 20kg 사료를 하루 두 번씩 급양하면 40~45일 전후로 다 먹는다. 털은 개체마다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 거의 일 년 내내 빠진다고 보면 된다. 특히 날이 더운 여름에 빠지는 털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이다.


그리고 얌전하다는 이미지와 달리 생후 2년이 되기까지는 굉장히 활발하다. 호기심도 많아 이곳저곳 잘 헤집고 다니며, 견주들은 이 기간을 '마의 2년' 이라고 부른다.
입질이 생각보다 많은 편 인데, 애초에 리트리버 종은 수렵견이기 때문에 무는 것을 좋아한다.

무는 힘이 상당히 강하기 때문에 어린 시절 잘근잘근 약하게 물 때 부터 물면 안되는 교육을 시켜야 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