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
스코틀랜드 셰틀랜드 제도에서 양(sheep) 치는 용도로 개량한 품종이며 이름만 봐도 용도를 알 수 있는 단순무구한 이름 이다. 배(ship)에 태워서 쥐 잡는 용도로 착각할 여지도 있지만 양(sheep) 치는 개 이다.
정식 명칭 'Shetland Sheepdog' 보다는 셀티, 셰티 등 별명으로 더 많이 불린다.
요즘에는 실내에서 기르는 반려견으로 많이 사육되고 있고 대형견 중에서 유명한 품종인 콜리와 생김새가 비슷하고 비슷한 용도로 사육 되었기 때문에 셰틀랜드 쉽독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들은 콜리의 개량종으로 잘못알기도 한다. 셰틀랜드 쉽독은 스코틀랜드 셰틀랜드 지방에 유입된 보더 콜리, 콜리, 코카 스파니엘, 포메라니안 등의 개들을 교배하여 근대에 탄생한 종 이고, 외모는 콜리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품종으로 콜리를 소형화한 견종이 아니다. 셰틀랜드 쉽독의 크기가 작은 이유는 원래 고산지대가 많은 셰틀랜드의 동물들이 다른 지역에 비해 크기가 작아서 거기에 맞게 개량 된 것 이다.
외모
키는 33~44cm, 무게는 8~12kg 정도로 체구가 작고 털이 긴 사역견이다.
셰틀랜드 쉽독의 털은 2겹으로 '이중모' 또는 '더블코트'라 불리며 그 중 속털은 '언더코트'라고 하는데 이 속털은 아주 부드럽고 피부가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매우 촘촘히 온 몸을 뒤덮고 있다. 이 털의 기능은 주로 체온 유지로 비바람이 치고 추운 지방에서 살아가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준다.
바깥쪽 겉털은 '오버코트'라고 하는데 셰틀랜드 쉽독을 봤을 때 보이는 긴 털이 오버코트 이다. 만져보면 언더코트보다 두껍고 거칠다. 이 털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아주고 비에 속털이 젖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속털이 바람에 갈라지지 않도록 바람막이 역할을 해준다. 실제로 오버코트는 오물이 묻어도 쉽게 잘 떨어진다.
장모종에 이중모 구조로 되어있어 털 빠짐이 심한 편이다. 부지런히 빗질을 해주지 않으면 하루도 안 돼서 온 집안에 털뭉치가 굴러다니는 걸 보게 된다. 물론 빗질을 꾸준히 해줘도 털이 옷에 묻는 건 포기하는게 좋을 정도로 많이 빠진다. 이건 애초에 털 있는 반려동물을 키우게 됫을 때 어느정도는 감수해야 할 부분으로 여겨진다.
원래 비바람이 치는 곳에서 양을 몰던 종이라 겉털이 방수 기능도 하기 때문에 목욕을 시킬 때 언더코트까지 충분히 물이 적셔지게 신경 써야 하고 이중모이기 때문에 목욕시킬 때 샴푸 잔여물이 남지 않도록 꼼꼼히 잘 헹궈주고 말려줄 때도 제대로 말리지 않아 습한 상태로 방치하면 피부병이 걸릴 수 있어 바싹 잘 말려줘야 한다.
셰틀랜드 쉽독의 모색 유전자는 세이블(갈색, 흰색)과 검정색 밖에 없으며 멀유전자로 인해 희석된 모색이 나올 수 있다. 셸티의 모색은 세이블, 세이블멀, 트라이, 블루멀, 바이블랙, 바이블루 등이 있고, 아주 드물게 더블멀이라는 모색도 종종 있는데 털 색이 두 번 희석되서 몸 전체가 흰색인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이 더블멀은 대부분 유전적 결함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시각, 청각, 후각 등에 문제가 있을 확률이 높고, 짝귀나 동공의 위치가 이상하다던지 외견적 장애가 있을 수 있으며 장애를 가질 경우 생존 확률이 낮아 질 수 있다.
가끔 희귀 모색이라며 비싼 가격에 분양 되기도 하는데, 더블멀은 희귀 셰털가 아니라 유전적으로 장애가 있을 확률이 높아서 전문 브리더들은 일부러 번식을 피하는 것이고 희귀한 확률로 태어나는 개체는 아니다.
더블멀은 멀끼리의 교배를 통한 희석이 두 번 이루어질 때 생기기 때문에 셰틀랜드 쉽독에 대해 기본적으로 알고 있다면 멀끼리의 교배는 피하는 편이다.
혹시 더블멀을 분양 받게 되면 꼭 유전 질병 검사를 받아보는 것 좋다.

특징
굉장히 소심한 성격으로, 특히 소리에 민감하다. 이 때문에 헛짖음이 잦은 편 이고, 몸집에 비해 목청이 좋아 소리가 크다. 고급스러운 외모를 보고 입양 했다가 엄청난 털 빠짐과 헛짖음 때문에 파양하는 경우가 있다.
소심한 성격 때문에 자기 표출을 못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 수 있는 만큼 사회화 교육은 꼭 필요하다.
원래 양 치는 용도로 개량된 견종이기 때문에 하루에 1시간정도는 운동을 시켜서 활동양을 맞춰 줘야 한다.
안 놀아 주거나 산책을 안 시켜주면 스트레스를 받아 짖거나 집안을 엉망으로 만들 수 있다.
새끼일 때 10개월 가량까지 테이프로 귀를 반쯤 접히도록 붙여서 교정을 해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외관상 예뻐보이려고 하는 것 이다.
'애완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표적인 경호견 도베르만 (0) | 2022.11.28 |
---|---|
중국 베이징의 개, 페키니즈 (0) | 2022.11.27 |
사고뭉치 코카 스파니엘 (0) | 2022.11.25 |
악마견의 대명사 비글(Beagle) (0) | 2022.11.24 |
인간 욕심의 산유물 불도그 (0) | 2022.11.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