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8

부동산 규제 폐지, 둔촌 주공에 미치는 영향은? ✔️규제 지역 해제 서울 강남, 서초, 송파, 용산구를 제외한 모든 지역이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에서 해제 됩니다. (1월 5일 0시부터 효력 발생) ✔️민간 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 해제 서울 강남, 서초, 송파, 용산을 제외한 전 지역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지역에서 해제 됩니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주택은 전매제한, 실거주 의무 등 부과) ✔️전매 제한 완화 전매제한은 수도권의 경우 공공택지(분양가 상한제 적용) 및 규제지역은 3년, 과밀억제권역은 1년, 그 외 지역은 6개월. 비수도권은 공공택지(분양가 상한제 적용) 및 규제지역은 1년, 광역시 도시지역은 6개월, 그 외 지역은 전면 폐지. ✔️수도권 분양가 상한제 주택 실거주 의무 폐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지정이 해제된 지.. 2023. 1. 5.
전세 가격, 올해는 어떻게 될까? 2023년 금리는 언제까지 오를지, 집값은 얼마나 떨어질지, 전세 시장은 안정될지 등 많은 궁금증이 떠오르는 시기 입니다. 일단, 고금리 기조는 어쩔 수 없을 것 같습니다. 금리를 여름에 내리든, 하반기에 내리든 인상을 멈춘다는 것이지 내리겠다는 것은 아니기에 우선 고금리 상황을 받아들이는 것이 맞습니다. 집값은 어떻게 될까요? 2023년 집값을 전망하기 위해 전세 시장부터 알아보려 합니다. 1. 전국적으로 입주 물량이 늘어난다. 2023년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30만 2075가구로 2022년에 비해 18%가량 증가 합니다. 수도권 15만 5470가구, 지방 14만 6605가구 입니다. 서울은 강남구, 은평구, 서초구 등의 순으로 입주 물량이 많은 가운데 대부분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완료된 사업장.. 2023. 1. 4.
임차권등기명령 관련 팁 금리가 오르면서 전세가가 내려가서, 전세금 반환으로 인한 분쟁이 많이 생길 것 같습니다. 예전에 임차권 등기 진행하면서 알게 되었던 내용인데, 혹시 필요하신 분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물론 저는 변호사가 아니므로 제가 쓴 내용이 틀릴 수도 있습니다. 여기에 나온 키워드들로 충분히 검색하시고 실제 상황에서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임차권 등기 비용은 집주인에게 청구가 가능하므로, 변호사까지는 어렵더라도 법무사의 도움은 꼭 받아서 진행하시기를 추천합니다. 0. 가급적 현재 사는 집이 빠진 후에 이사갈 집을 결정하세요. 전세 만기가 되어서 나가겠다고 했는데, 집이 빠지면 주겠다, 집이 빠지지 않아서 나도 돈이 없는데 어떡하느냐는 집주인들이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 그래서 현재 사는 집이.. 2022.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