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세2 우리집도 깡통전세? 전세사기? 전세사기와 깡통전세는 비슷해 보이지만 다릅니다. 전세사기는 의도적으로 사람을 속여 찾오를 일으키게 해서 재물이나 재산상 이득을 얻는 행위인 범죄행위입니다. 이 둘은 상대방에게 전세보증금에 대한 손해를 입힌다는 공통점도 있지만, 그 행위가 의도적인지 아닌지의 차이점이 있습니다. 즉, 깡통전세는 단순히 전세보증금이 집값보다 비싸진 상태를 얘기하고, 전세사기는 그런 상황이 발생할 것을 알면서 만든 것을 얘기합니다. 그래서 깡통전세는 의도하지 않더라도 부동산 시장이 하락하게되면, 무리한 투자를 한 투자자들은 깡통전세를 발생시키고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내주지 못해 보유한 주택들이 경매로 넘어가게 됩니다. 깡통전세 전세 보증금이 주택의 매매가격(+대출) 보다 더 높은 경우 입니다. 이럴경우, 해당 주택이 경매로 넘.. 2023. 1. 6. 큰일난 부동산 시장 지난 10년간 상승장 지난 10년간의 저금리가 전세 대출을 크게 늘렸고, 이를 통해 목돈 없는 월세입자가 수억짜리 전세입자로 둔갑함. 전세 대출에 의해 전세 가격이 상승하자 전세를 끼고 사는 갭투자가 성행하며 매매 가격도 끌어올림. 매매 가격이 계속 상승하자 급해진 무주택자 200만명이 코로나 유동성을 타고 영끌 패닉바잉 피날레를 찍음. 반대로 전개 되기 시작한 하락장 금리가 폭등하자 메리트 없어진 전세대출이 감소하면서 전세대출에 의한 가공 전세수요가 증발함. 금리 폭등/전세 수요 증발에 의해, 매매/전세 가격이 동반 폭락하자 갭투자자들 전세보증금 반환 불가한 상황. 전세 만기가 돌아오는 내년 전세보증금 반환 청구에 따른 경매가 속출 할 예정인데 매매가는 내려갔는데 최고점 거품 감정가에서 경매가 시작하므.. 2022. 12.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