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노트

양날의 검, 신용카드 리볼빙

by 아몬드농장 2023. 1. 19.
반응형


리볼빙이란?

신용카드 리볼빙이란 직역하면 '돌다', '회전하다'라는 뜻의 영어 단어 'Revolve'에서 비롯된 단어이다.

카드사에서는 약정된 결제일에 최소의 금액(미리 설정한 비율)을 결제하고 나머지 대금은 다음으로 미뤄 갚을 수 있는 '회전결제방식'을 뜻한다.

 

2015년부터 일부결제금액 이월 약정이라는 용어로 불리고 있다.

일반적인 신용카드는 사용 후 약정된 결제일에 일시불로 처리하지만, 리볼빙 결제 방식을 이용하면 결제 대금 납부가 부담스러울 때에 결제 대금 중 일부를 연기할 수 있다.

최소 10~100%까지 결제 비율을 지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10% 설정 시, 사용금액 100만원 중 10만원은 이번 달에 결제하고, 나머지 90만원은 이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장단점은?

카드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일부결제금액 이월 약정이라고 불리는 리볼빙 가입을 권유하는 상담 전화를 받아본 일이 꽤 많이 있다. 전화 상담이다 보니 정확한 결제 방식과 시스템에 대해 인지하지 못한 사회초년생 MZ세대들은 단순히 이번 달 결제금액을 미룰 수 있다는 말에 사용하게 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다.

 

리볼빙은 당월에 현금 융통에 문제가 생겨 당장 카드 대금을 결제할 수 없을 때 급한 불을 끌 수 있는 장점은 있다.

카드 대금이 연체되면 신용 등급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니 당장 현금이 부족한 경우, 리볼빙을 통해 대금 납부를 연기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리볼빙은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는 속담에 적합한 서비스이다.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리볼빙 서비스 비율이 급증한다는 조사 결과가 있다. 무분별한 결제 금액 이월로 인해, 지난해 11월 말 기준으로 국내 7개 카드사의 결제성 리볼빙 잔액은 약 7조원에 달하고 있다고 한다.

 

문제는 리볼빙의 이자율이다. 최근 금리가 급속도로 치솟음과 동시에 리볼빙 이자율 역시 15~20%에 달한다.

여기에 더 큰 문제는 리볼빙 이자가 단리가 아닌, 복리 이자라는 점이다. 

즉, 이자로 붙는 금액 또한 본인이 설정해 둔 결제 약정 비율만큼 이자가 붙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래서 리볼빙이 정확히 인지하고 못 한채 결제일을 미루다 보면 갚아야 할 금액이 너무 커져 감당이 안 되는 수준에 이를 수 있다.

대금 지급이 어려울 때 도움을 받을 수 있지만, 이자율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신용카드는 생활의 편리함과 여러 가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신용카드 역시 신용을 기반으로 하는 카드사 대출 시스템 중 하나라는 것을 생각하고 현명하게 사용해야 한다.

신용카드, 리볼빙 결제 방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 및 소비 패턴 분석을 통해 꼭 필요한 만큼만 사용하고 잘 이용해야 한다.

반응형

댓글